HS CODE 조회하기

국제 무역, 수출입 업무에서 빠질 수 없는 HS Code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이 글에서는 HS Code의 정확한 의미와 함께, 직접 조회하는 방법까지 차근차근 설명해 드립니다. 

수출입 초보자부터 관련 업계 종사자까지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만 담았으니, HS CODE 조회를 해보시길 바랍니다.

웹폰트 버튼 HS Code 조회하기 👉














1. HS Code란 무엇인가요?

**HS Code(Harmonized System Code)**는 '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'의 줄임말로,
전 세계 수출입 상품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숫자로 분류한 상품 코드예요.
국제무역기구(WCO, 세계관세기구)가 정한 표준 코드이며, 관세 부과, 통관, 통계 작성 등에 반드시 활용됩니다.

예를 들어 ‘남성용 면 티셔츠’는 전 세계적으로 6109.10이라는 코드로 통일돼 있어요.
이 코드만 보면, 상품의 종류, 소재, 용도까지 파악이 가능하죠.


2. HS Code가 중요한 이유

  • 정확한 통관:
    HS Code를 잘못 입력하면 세관에서 오류로 반송되거나 통관 지연이 발생할 수 있어요.

  • 적절한 관세율 적용:
    어떤 코드에 해당하느냐에 따라 관세율이 달라집니다. 같은 상품이라도 HS Code가 다르면 세금 차이가 날 수 있어요.

  • FTA(자유무역협정) 활용:
    FTA에 따라 HS Code를 기준으로 무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, 정확한 분류는 필수입니다.

  • 수출입 통계 활용:
    정부나 기업에서 수출입 시장조사를 할 때, HS Code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석합니다.


3. HS Code 조회 방법

대한민국 관세청과 한국무역협회(KITA)에서 제공하는 사이트를 통해 손쉽게 조회할 수 있어요.


1) 관세청 '품목분류포털' 이용 방법

  • 접속: https://unipass.customs.go.kr

  • 메뉴: ‘통관업무 → 품목분류 조회’

  • 키워드 입력 (예: 면 티셔츠, 커피 머신 등)

  • 해당 품목의 HS Code, 관세율, 수입규제 정보 확인 가능

예시: ‘커피 머신’ → HS Code: 8516.71 (전기 커피 메이커)


2) 한국무역협회(KITA) 통합무역정보 서비스

  • 접속: https://www.kita.net

  • 메뉴: ‘무역통계 → 품목별 조회’ 또는 ‘FTA포털 → HS코드 검색’

  • 상세한 품목 설명과 수출입 실적, FTA 혜택까지 확인 가능


3) WCO(World Customs Organization) 국제 기준 확인

  • 전 세계 표준 6자리까지는 WCO 기준 동일

  • 이후 각 국가에서 8~10자리로 세분화 → 수출국과 수입국의 코드 차이 주의